산 바다 호수
산에서 길 찾기
봄나래 ~
2017. 7. 14. 16:25
산에서 자연현상으로 방향잡기
1. 해
봄 가을에는 해가 동쪽에서 뜨고, 낮에는 남쪽에 있고, 서쪽으로 진다. 겨울에는 해가 동남쪽에서 떠서, 남서쪽
으로 진다.
2. 별
어두운 밤에는 북극성으로 정확히 북쪽을 찾을 수 있다.
3.달
달의 모양과 시간을 보고 찾음. 초승달은 새벽 6 시에 동쪽하늘에 있다. 저녁 6 시에는 서쪽하늘에 있다. 반대로
보름 달은 저녁 6 시에 동쪽, 새벽 6 시에 서쪽. 상현달은 밤 9 시에 서쪽. 하현달은 새벽 3 시에 남쪽. 밤 9시에
동쪽에 있다.
4. 그림자
그림자가 선명하게 나타날 때는 막대기를 세운다. 그림자의 끝에 표시를 해 두고, 그림자 끝이 5 cm 정도 움직일때
까지 기다린다 (약 10 분정도 소요). 움직인 그림자의 끝을 표시하고, 선을 그어면, 시작점이 서쪽이고, 끝점이 동쪽
이다.
5. 나무
나무가지가 많이 자라고, 잔가지가 길게 뻗은 쪽이 남쪽이다.
베어진 그루터기의 나이테를 본다. 나이테가 넓게 보이는 쪽이 남쪽이다.
껍질이 두꺼운 쪽이 북쪽
6. 이끼
바위 같은데, 북쪽에 이끼가 많이 낀다.
7. 바람
봄, 가을 보통 남쪽에서 바람이 분다. 겨울은 대체로 북쪽
8. 시계
시계의 시침을 태양과 일치시킨다. 시침과 12시 방향의 각도를 이등분한 방향이 남쪽
9. 집
우리나라 집은 대채로 남쪽으로 향하고 있다. 한두집을 봐서는 안되고, 여러집을 참고한다.
10. 묘지
무덤이나 비석은 대개 남쪽을 향하고 있다.
산에서 길을 잃었을때는 가장중요하단 것은 계곡 보다 능선을 따라 어떤곳이던 정상향해 올라야합니다.
능선에는 어떤 산이라도 절벽이 아니면 길이 있습니다. 그리고 능선이 가장 완만한곳이고 절벽이이나 장애물이
나타나타나면 아래쪽을 잘 살펴보시면 우회하는 길이 대부분 있습니다. 눈이 많은 겨울철에는 산짐승의 발자국을
보셔요 시작하는 발자국은 언제나 계곡을 향했다가 다시 되돌아옵니다.계곡일경우엔 다시 올라가는 방향이면
다른 발자국을 찾아야 되고 특히 유사시 사용하기 만들어진 군사초소 흔적을 찾셔요 대체로 능선의10m이내
정상의 20미터 계곡의 길목 그위에서 앉아서 보시면 사람의 키높이 정도는 통로가 보임니다. 이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여름철이나 겨울철의 계곡은 위험합니다. 힘들더라도 다시왔던길을 되돌아 오는 것이 가장안전합니다.
처음 가보는 산행길에 갑자기 길을 잃었을때, 어떻게 대처하시겠습니까?
길을 잃었을 때 유명산의 경우 대부분 등산로가 잘 닦여 이정표를 잘 활용하면 크게 위험한 일은 없습니다. 그러나
산행을 계속하다보면 인적이 뜸한 산에 갈 기회가 있을 텐데요, 사람들이 많이 다니지 않는 산에서는 등산로가
뚜렷 하지 않은 곳이 많아 한눈을 팔았다가는 금방 길을 잃고 맙니다.
만일 길을 잃었을 때는 왔던 길을 되돌아 나가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이때 절대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금만 되돌아 나가면 다시 길을 찾을 수
있는경우에도 당황하게 되면 되짚어 나가는 길이 헷갈리게됩니다. 반드시 나뭇가지 등을 이용하여 현위치를
표시해 가면서 진행해야합니다. 그래야 다시 길을 잃더라도 원위치할 수가 있습니다. 길이 잘 나 있는
등산로에서도 너무 여러 갈래 길이다보면 헷갈리게 됩니다. 그래서 되도록 오를 땐 능선을 타고, 내려올 땐
계곡 길을 잡는게 안전합니다. 능선은 내려오면서 길이 갈라 지므로 그때마다 길을 찾아야 하지만 계곡은
흘러내리면서 계류가 합쳐지므로 능선과는 반대입니다.
여럿이 산행소요). 움직인 그림자의 끝을 표시하고, 선을 그어면, 시작점이 서쪽이고, 끝점이 동쪽이다.
5. 나무
나무가지가 많이 자라고, 잔가지가 길게 뻗은 쪽이 남쪽이다.
베어진 그루터기의 나이테를 본다. 나이테가 넓게 보이는 쪽이 남쪽이다.
껍질이 두꺼운 쪽이 북쪽
6. 이끼
바위 같은데, 북쪽에 이끼가 많이 낀다.
7. 바람
봄, 가을 보통 남쪽에서 바람이 분다. 겨울은 대체로 북쪽
8. 시계
시계의 시침을 태양과 일치시킨다. 시침과 12시 방향의 각도를 이등분한 방향이 남쪽을 하다 길을 잃거나 위급한
조난을 당했을 때는 의견이 분분할 수 있는데 산행 경험이 많은 사람 의견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산행경험자는
여러 의견을 참고 하여 최종 결단을 자기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단호하게 내려야 합니다. 어두워지면
겁을 먹게 되므로 판단력이 급격히 떨어지는데, 조급한 마음에 일을 그르칠 수 있으므로 다른 행동을 멈추고 빠른
시간 안에 불을 피웁니다. 어둠 속에서 환하게 밝혀진 불은 사람의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과를 갖습니다. 그렇게
마음을 가라앉힌 다음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여 해결책을 찾습니다.
■ 나침판을 이용한 길 찾기
1.지도에서 현위치와 목적지를 잇는 선에 나침반 옆면(화살표=진행방향)을 일치시킨다.
2.캡슐을 회전... 빨간/검정선을 지도의 남북선과 일치시켜 "N"자가 북쪽을 향하게 한다.
3.사용자 몸 앞에서 나침반의 움직이는 북쪽 자침을 캡슐의 "N"자와 일치되게 진행한다.(즉 나침반 기판의
2.캡슐을 회전... 빨간/검정선을 지도의 남북선과 일치시켜 "N"자가 북쪽을 향하게 한다.
3.사용자 몸 앞에서 나침반의 움직이는 북쪽 자침을 캡슐의 "N"자와 일치되게 진행한다.(즉 나침반 기판의
화살표 방향이 진행 방향이 되며, 이동중의 확인시에 캡슐의 "N"자와 북쪽 자침이 일치할 때는 목표방향으로
제대로 진행한다는 뜻이다.)
4.목적지까지 중간에 이정표를 잘 선택, 설정하고, 그 이정표에 도달하면 새로 설정한다.
* 산행시간거리는 2km(만보계=약3,600보)에 약1시간으로, 자신의 이동시간을 체크해 두면 목적지까지의
4.목적지까지 중간에 이정표를 잘 선택, 설정하고, 그 이정표에 도달하면 새로 설정한다.
* 산행시간거리는 2km(만보계=약3,600보)에 약1시간으로, 자신의 이동시간을 체크해 두면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을 예상할 수 있다. 같은 거리에도 능선 내림은 시간이 덜 걸리며, 험한 계곡 내림이나 능선 오름은
시간이 늘어난다.<중요한 사항이니 숙지바라며, 만보계를 이용하여 도착점/시간을 예상할 수도 있다.>
* 지도(지형도 지적.임야도 도로망도 등)는 글씨쓰기 방향의 윗부분이 정북이 되게 작성한다.
* 지도(지형도 지적.임야도 도로망도 등)는 글씨쓰기 방향의 윗부분이 정북이 되게 작성한다.
■ 밤에 북두칠성을 이용하여 북쪽 방향을 찾는 방법
북두칠성을 서양인들은 "국자"(dipper)처럼 생겼다고 생각 합니다.
우리가 보통 말하는 북두칠성은 큰곰 자리의 일곱개 별을 말합니다.
북두칠성의 일곱개 별중, 국자의 자루 부분이 아닌 바가지의 끝 부분에 있는 두개의 별을 이용합니다.
끝부분에 있는 두개의 별의 연장선을 국자 안쪽으로 가상으로 그어 놓은 후 그 연장선상에 두별의 간격의 다섯배
우리가 보통 말하는 북두칠성은 큰곰 자리의 일곱개 별을 말합니다.
북두칠성의 일곱개 별중, 국자의 자루 부분이 아닌 바가지의 끝 부분에 있는 두개의 별을 이용합니다.
끝부분에 있는 두개의 별의 연장선을 국자 안쪽으로 가상으로 그어 놓은 후 그 연장선상에 두별의 간격의 다섯배
되는 지점에 다른 별보다 좀 큰 별이 "북극성" 이 되므로, 이 방향이 북쪽이랍니다.
■ 낮에 손목 시계를 이용하여 남쪽 방향을 찾는 방법
손목에서 시계를 풀어, 작은 바늘(시침)을 태양을 향하게한 다음 작은 바늘과 "12"(정오) 를 가르키는 위치 사이의
그 중간 방향이 대략 남쪽입니다.
또한 수평한 곳에 수직으로 세운 가는 나무나 성냥개비의 그림자와 시계의 시침을 일치시키면 더 정확하고,
또한 수평한 곳에 수직으로 세운 가는 나무나 성냥개비의 그림자와 시계의 시침을 일치시키면 더 정확하고,
시계의 숫자판이 나와 있는 전자시계는 측정이 불가능합니다.
■ 그림자를 이용하여 방향 찾는 방법
달로도 방향을 어림잡을 수 있습니다.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을 보아 대개 짐작하는 방법인데요,
초승달- 오전 6시경에 동쪽 하늘, 오후 6시경에는 서쪽 하늘
상현달- 오후 9시경에 서쪽 하늘
보름달- 오후 6시경에 동쪽에서 떠서 오전 6시경에 서쪽으로 짐
하현달- 오전 3시경에 남쪽 하늘, 오후 9시경에 동쪽 하늘
그림자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평지에 막대를 곧게 세우고 그림자의 끝을 표시한 후, 그림자의 끝이 5cm 정도
초승달- 오전 6시경에 동쪽 하늘, 오후 6시경에는 서쪽 하늘
상현달- 오후 9시경에 서쪽 하늘
보름달- 오후 6시경에 동쪽에서 떠서 오전 6시경에 서쪽으로 짐
하현달- 오전 3시경에 남쪽 하늘, 오후 9시경에 동쪽 하늘
그림자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평지에 막대를 곧게 세우고 그림자의 끝을 표시한 후, 그림자의 끝이 5cm 정도
움직일 때까지 기다립니다. (1m의 막대는 10분쯤 기다리면 된답니다.)
다음에 움직인 그림자의 끝을 표시하여 이 두 점을 연결하면 처음의 끝이 서쪽이고 나중의 끝이 동쪽이 됩니다
다음에 움직인 그림자의 끝을 표시하여 이 두 점을 연결하면 처음의 끝이 서쪽이고 나중의 끝이 동쪽이 됩니다
북반구에서는 북쪽을 등지고 남쪽을 보고 섰을때 왼쪽이 동쪽, 오른쪽이 서쪽이고,
남반구에서는 남쪽을 등지고 북쪽을 보고 섰을때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다.
♣. 북반구와 남반구에서의 기준이 다른 이유는 우주의 방위는 태양이 가장 높은 고도에 도달하는 위치인
남중(南中) 남반구에서는 북중(北中) 점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다.
※ 참고: 우리나라는 북반구에 속해 있다.
지도, 나침반
♣. 나침반의 빨간색 바늘이 가리키는 쪽이 북쪽이고, 북쪽을 바라봤을때 뒤쪽은 남쪽, 횐쪽은 서쪽,
오른쪽은 동쪽이 된다.
(북)
(서) + (동)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