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숨겨진 우리산244
양각산
봄나래 ~
2020. 12. 9. 23:11
양 각 산(1,150m)
산행일: 2020년 11월 14일 토요일
소재지: 경상남도 김천시 증산면, 대덕면. 경상남도 거청군 가북면
코스: 심방마을-아홉사리고개-흰덤이산-양각산좌봉-양각산-시코봉-수도산-구곡령- 임도
-불설계곡-심방마을(11.8km)
들머리
심방마을 들머리와 날머리의 거리는 50m 정도, 흰덤이산, 양각산, 시코봉,수도산을 돌아 심방마을로 ~
흰덤이산 정성석에는 흰대미가 아니다
지나온 뾰족한 마루금 ~
~ ~
양각산
양각이란 두개의 소뿔을 의미하며, 화강암 지반을 갖고 높이 솟은 두 봉우리가 동서쪽으로 암수 자웅
형태로 솟은 두 봉우리 중에 북봉이 정상이다. 북봉 정상에 오르면, 북으로 대덕산 너머 민주지산, 황악산,시계바늘 방향으로는 수도산이 펼쳐지고, 사야산,두무산,오도산, 기백산, 금원산, 남덕유산, 무룡산 등이 시야에 들어온다.
~ ~
지나온 능선길에 양각산 두 봉우리가 ~
시코봉
산죽이 무성한 운치있고 예쁜등로 ~
수도산 정상
수도산정상 돌탑뒤로 하산 등로가 있다
수도산정상에서 70m 거리에서 단지봉 방향으로 ~
온길 뒤돌아보며 수도산정상 돌탑을 ~
단지봉 구곡령 갈림길에서 구곡령으로 ~
임도가 계속되며 주위 산야에는 주로 낙엽송이 ~
양각산(1,150m)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산포리, 가북면 중촌리
양각산(1,150m)의 옛이름은 금광산이다. 북쪽 수도산 신선봉을 기점으로
남진하는 줄기 4km지점에 있다. 정상을 중심으로 동쪽에는 거창 두메가 되는 가북면 중촌리 소재
심방소가 안기고,서쪽으로 웅양댐 위에 자리한 금광마을을 품고 있다.
양각산이란 두개의 소뿔을 의미한다. 화강암 지반을 갖고 높이 솟은
두 봉우리는 동서쪽으로 벼랑을 수반하고 소뿔 형상의 암수 자웅 형태로 솟은 두 봉우리 중에
북봉이 정상이다. 양각산 좌봉에 서면 수십km에 달하는 백두대간 마루금과 주변의 산봉들이 파노라마를 이룬다. 좌봉에서 15분 거리에 있는 북봉 정상에 오르면, 북으로는 대덕산 너머 민주지산,
황악산, 시계바늘 방향으로는수도산이 펼쳐지고, 사야산, 두무산, 오도산,
기백산, 금원산, 남덕유산, 무룡산 등이 시야에 들어온다.
이산의 특징은 재나 골짜기, 마을명들이 모두 소에 인연하여
빚어진 이름들이 많다. 김천시로 넘는 소머리고개인 우두령을 비롯하여 소구시를 뜻하는
구수마을, 쇠불알을 뜻하는 우랑마을 등이 있다.
수도산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김천시 대덕면. 경상남도 거청군 가북면
가야산맥(伽倻山脈) 상의 고봉의 하나이다. 가야산맥은 소백산맥의
대덕산(大德山, 1,290)에서 동쪽으로 뻗어 나간 한 지맥으로 우두령(牛頭嶺)에 의해 소백산맥과
분리된 독립산괴로 간주할 수 있다.
수도산은 이 산맥 중 가장 서쪽에 있는 고봉이며,
이에 연하여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의 도계를 따라 단지봉(丹芝峯, 1,327m) · 두리봉(1,133m) ·
가야산(1,430m) 등의 1,000m 이상의 명산이 솟아 있다. 또한, 수도산에는 가야산맥과 분기하여
염속산(厭俗山, 870m) ·백마산(白馬山, 716m) · 금오산(金烏山, 977m)을 연결하는
북동방향의 산맥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산의 능선은 폄마암으로 되어 있고, 그 남북에는 화강암이 분포하여
처별침식의 결과 높은 산릉을 이루고 있다. 수도산 중복에는 청암사(靑巖寺)와 수도암(修道庵)이 있는데, 청암사는 신라 헌강왕 때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하고 조선조의 허정화상(虛靜和尙)이
중창하여 화엄종(華嚴宗)을 선양한 곳이다.
북쪽 산록의 청암사 일대는 불령동천 · 용담폭포 · 측산령낙조 · 담계옥류 등이 청암사 8경으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