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바다 호수

수태산, 무이산, 향로봉

봄나래 ~ 2021. 3. 24. 03:28

  무 이 산(武夷山, 546m), 수 태 산(秀泰山, 575m)

 

  산행일: 2021년 3월 21일 일요일

  소재지: 경상남도 고성군 상리면

  코스: 홈타골-돌구산-약사전-무이산-수태산-수태재-학동치-전망바위-향로봉-천진암

            -운흥사-주차장(13.1km)

 

 

 

들머리 홈타골

 

얼레지

 

돌구산정상에서 ~

 

우측으로는  가야하는 무이산이 보이고 ~

 

산자고

 

약사여래대불

 

문수암에서 바라본 약사여래대불

푸르고 선명하게 자란만이 펼쳐지는 광경을 미세먼지로 못보니 아쉬운 가득 ~

 

문수암

 

무이산정상 조망 ~

 

무이산정상에서 조금 진행하다 보면 멋진 편백림이 나오고 ~

 

수태산 진행방향

 

얼레지군락

 

수태산정상에서 ~

 

~ ~

 

고깔제비꽃

 

수태재

 

남산제비꽃

 

현호색

도로가 있고, 도로를 지나

임도를 따라 걷다보면  ~

 

이렇게 등로 진입 계단이 나온다

 

임도를 가로질러 바로 등로로 진입한다

 

노랑제비꽃

 

좌측으로 고성의 자란만이 등로를 따라 자주 펼쳐진다

 

 

향로봉정상에서 ~

 

~ ~

 

상두바위

 

상두바위 뒷부분

 

전망대

전망대에 있는 소나무가 너무도 멋짐 ~

 

너덜길이 한동안 이어지고 ~

 

현호색

 

 

무이산(武夷山, 546m)

 

남서쪽 수태산(575m)과 능선으로 서로 이어져 있다.「여지도서」에는

"무이산(武 夷山)은 관아의 서쪽 25리에 있다. 무이산 아래에 사수(泗水)와 백록동(白鹿洞)이 있다.

감치산(甘峙山)에서 뻗어 나온다."고 하였고「대동여지지」 에는 "현의 서쪽 25리에 있다.

북쪽에는 백악동(白岳洞)이 있고, 서쪽에는

내원사(內院寺)가 있다."고 수록하였다.「동여도」에는 무이산 북쪽에는

백악동 그리고  서남쪽에 내원사를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광여도」,「영남지도」,

「1872년지방지도」등에는 내원사가 무이산 근처가 아니라 사천과의 경계에 있는 것으로 표시하고

있다. 삼국시대부터 해동의 명승지로 유명하였으며, 국선화랑들이 이 산에서

심신을 연마했다고 전해지진다.

 

수태산(秀泰山, 575m)

 

서북쪽 무이산과 능선이 이어져 있다. 옛 지명은 "문수산(文殊山)으로

「여지도서」에는 문수산은 관아의 서쪽 25리에 있다. 감치산(甘峙山)에서 뻗어 나온다."고

하였다. '문수`라는 지명은 688년(신라 신문왕 5)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문수암(文殊菴)에서 유래하였는데문수암이 북쪽에 인접한 무이산(546m) 정상 남쪽에 있고「조선지지자료」에는 무이동(武夷洞)

문수산(文洙山)을 기록하고 있어 무이산을 문수산으로 보는 의견이 있다.

 

 

  ♣. 우라나리의 공기질이 나빠지면서 아쉬운을 참 많이 느낀다. 오늘또한 그런날로

미세먼지로 흐릿한 대기질 때문에 자란만의 섬들의 자태 선명한 모습을 감상하지 못함이 못내 아쉽다.

무이산은 육산으로 걷기좋았으며, 좋은 등로를  즐겁게 걸었고 좋은 산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