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있는 창

그리운 바다 성산포, 바다의 오후, 벌레 먹은 나뭇잎 -이생진-

봄나래 ~ 2011. 8. 19. 14:18

   

 

 

 

   

 

 

 

 

 

              그리운 바다 성산포  - 이생진 -

 

 

 

           살아서 고독했던 사람

 

           아무리 동백꽃이 불을 피어도

 

           살아서 가난했던 사람,

 

           그 빈자리가 차갑다.

 

 

 

           나는 떼어 놓을 수 없는 고독과 함께

 

           배에서 내리자 마자 방파제에 앉아 술을 마셨다.

 

           해삼 한 토막에 소주 두 잔,

 

           이 죽일 놈의 고독은 취하지 않고

 

           나만 등대 밑에서 코를 골았다.

 

 

 

           술에 취한 섬, 물을 베고 잔다

 

           파도가 흔들어도 그대로 잔다

 

 

 

           저 섬에서 한달만 살자

 

           저 섬에서 한달만 뜬 눈으로 살자

 

           저 섬에서 한달만

 

           그리움이 없어질 때까지

 

 

 

           성산포에서는 바다를 그릇에 담을 순 없지만

 

           뚫어진 구멍마다 바다가 생긴다

 

           성산포에서는 뚫어진 그 사람의

 

           허구에도 천연스럽게 바다가 생긴다.

 

 

 

           성산포에서는 사람은 슬픔을 만들고

 

           바다는 슬픔을 삼킨다

 

           성산포에서는 사람이 슬픔을 노래하고

 

           바다가 그 슬픔을 듣는다

 

                  

 

           성산포에서는 한사람도 죽는 일을 못 보겠다

 

           온종일 바다를 바라보던

 

           그 자세만이 아랫목에 눕고

 

           성산포에서는 한사람도 더 태어나는 일을 못 보겠다

 

           있는 것으로 족한 존재.

 

           모두 바다만을 보고 있는 고립

 

 

 

           바다는 마을 아이들의 손을 잡고

 

           한나절을 정신없이 놀았다.

 

           아이들의 손을 놓고 돌아간 뒤

 

           바다는 멍하니 마을을 보고 있었다

 

           마을엔 빨래도 마르고,

 

           빈집 개는 하품이 잦았다

 

           밀감나무엔 게으른 윤기가 흐르고

 

           저기 여인과 함께 탄 버스에는

 

           덜컹덜컹 세월이 흘렀다.

 

                             

 

           살아서 가난했던 사람,

 

           죽어서 실컷 먹으라고 보리밭에 묻었다

 

           살아서 술을 좋아했던 사람,

           죽어서 바다에 취하라고 섬 꼭대기에 묻었다

           그리웠던 사람,

 

           죽어서 찾아가라고 짚신 한 짝 놓아 주었다. 

 

 

 

            365일 두고두고 보아도 성산포하나 다 보지 못하는 눈

 

            60평생 두고두고 사랑해도 다 사랑하지 못하고

 

            또 기다리는 사람

 

 

 

 

 

 

 

 

 

 

 

              바다의 오후  - 이생진 -


           바다는

           마을 아이들의 손을 잡고

           한 나절을 정신없이 놀았다

           아이들이 손을 놓고

           돌아간 뒤

           바다는 멍하니

           마을 보고 있었다

           마을엔 빨래가 마르고

           빈 집 개는 하품이 잦았다

           밀감 나무엔

           게으른 윤기가 흐르고

           저기 여인과 함께 탄

           버스엔

           덜컹덜컹 세월이 흘렀다.

 

 

 

 

 

           

 

 

 

 

 

 

 

 

 

 

               벌레 먹은 나뭇잎  - 이생진 -


          나뭇잎이

          벌레 먹어서 예쁘다.

          귀족의 손처럼 상처 하나 없이 매끈한 것은

          어쩐지 베풀 줄 모르는 손 같아서 밉다

          떡갈나무 잎에 벌레 구멍이 뚫려서

          그 구멍으로 하늘이 보이는 것은 예쁘다

          상처가 나서 예쁘다는 것은 잘못인 줄 안다

          그러나 남을 먹여 가며 살았다는 흔적은

          별처럼 아름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