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성 산(魯城山, 348.1m) - 산림청 숨겨진 우리산244 -
산행일: 2021년 11월 21일 일요일
소재지: 청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상월면
코스: 명재고택-노성 궐리사-옥리봉-애향공원-헬기장-노성산-금강대도
-성벽-노성면 면사무소(약 5km)
노고산 들머리인 노성궐리사 가기전 입구 좌측에 명재고택이 있다
노성 궐리사 ▼
잠시 임도를 걷다 산길로 ~
추위를 이기고 고고한 구절초 ▼
미역취 ▼
산 능선 곳곳에 너른터가 있다
노성산 정상에서 ▼
~
금강대도로 향해 가던길에 하늘이 이뻐서 ▼
이산정 ▼
금강대도 노성본원
금강대도는 1874년에 창건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비탄에 빠진 사람들에게 민족정신 함양과
독립의 희망을 주창하다 일제에게 혹독한 탄압을 받는 등 민족종교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한국의 민족종교로서, 교리는 천 · 지 · 인 삼합의 원리에 순응하며, 인간의 도덕을 수립함에 있어
유 · 불 · 선 삼도를 만법귀일(萬法歸一)의 원리로 통합 실천하여 심(心) · 성(性) · 신(身) 삼합의
경지를 이룬다는..
삼신암(좌) 칠성암(우)
~
노성산성 ▼
임도 건너 등로로 직진 ~
낙엽의 계절 ~
노성산(魯城山, 348.1m)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상월면
논산시의 북쪽, 노성면 가곡리와 송당리, 상월면 신충리, 월오리에 걸쳐 있는
산이다. 편마암과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마암이 분포하는 곳에는 소나무와 활엽수 등 다양한
수종이 자라고 있다. 화강암으로 구성된 곳은 상대적으로 평탄한 곳이 많으며
논산 평야로 이어진다.
동쪽으로 소규모 골짜기가 발달하였으며 노성천과 합류하는 석성천의
지류가 흐른다. 정상 부분에는 백제시대에 축조된 테뫼식 석축산성인 노성산성(사적 제393호)이 있다.
산성은 대부분 붕괴되었지만 일부 남은 구역에서 축성법을 확인할 수 있다.
명칭 유래
노성면은 1656년(효종 7) 때부터 노성현(魯城縣)으로 불렀는데,
노성산은 이 지명에서 연유한 것으로 추측된다.,
♣. 노성산은 산보다는 삼국 시대의 역사와 옛 선조들의 삶의 흔적을 찾아보는 데에
가치가 더 큰 산행지이다. 나름 배우고 되돌아 생각케하는 그런 의미있는 곳으로 뜻깊은 하루가 되었다.
인심 넉넉한 인근 마을 주민들 에게서도 느끼는 바가 있는 기분 좋은 하루가 되었다.
'산림청 200대 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오산(예산군) (0) | 2022.02.16 |
---|---|
월아산 (0) | 2021.12.28 |
태화산(泰華山, 641m) (0) | 2021.11.16 |
복주산 (0) | 2021.09.16 |
천태산 (0) | 2021.09.10 |